스킵네비게이션


 

공학기초과목


SN072 일반수학 (GENERAL MATHMATICS)


공학분야의 수학적 기초 확립을 위하여 함수, 행렬, 좌표, 벡터, 미적분 등의 기초적인 수학분야를 다룬다.


SN093 소프트웨어활용 (SOFTWARE APPLICATION)

환경, 토목, 도시 시설 및 계획 또는 기기 등의 설계도면에 대한 이해는 현장에서 일하는 건설환경도시공학도로서의 요구되는 기본사항이다. 또한 엔지니어링 회사 등에서 요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습득능력을 배양한다. 이 과목에서는 건설환경도시공학도로서 필요한 CAD 및 엑셀 등의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을 다룬다.


SN021 기초통계학 (BASIC STATISTICS)

실험자료 등의 해석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계적인 자료해석 방법 및 통계적 추론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이 과목의 주요 내용은 상관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가설검정과 신뢰구간, 조건부확률과 통계적 독립, 여러 가지 분포 확률변수의 함수의 분포, 점추정, 구간추정, 통계적 가설검정, 비모수통계학, 다변량 통계해석 등을 다룬다.


SN085 대학물리학 (BASIC STATISTICS)

자연의 이치를 연구하는 학문인 물리학은 이공계의 모든 학문에 기초가 된다. 따라서 물리학의 기본 개념을 잘 이해하여 전공교과에 적용 및 응용 할 수 있다. 이론 수업과 실험 수업의 성실한 참여로 조직에서 협력적인 태도를 함양하고 데이터 결과를 잘 분석할 수 있다.




전공기초과목


SE006 공업역학(1) (ENGINEERING MECHANICS (1))


공업역학은 힘이 작용하는 물체 특히 강체의 정지 및 운동상태를 취급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이다. 본 교육과정에서는 역학의 기본을 배우는데 큰 동기를 느끼게 하여 이론을 충분히 습득케 하고 그 원리를 바탕으로 실 공학문제를 푸는 해석적 방법의 기초를 쌓게 한다.


SE710 공업역학(2) (ENGINEERING MECHANICS (2))

공업역학은 힘이 작용하는 물체 특히 강체의 정지 및 운동상태를 취급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이다. 본 교육과정에서는 역학의 기본을 배우는데 큰 동기를 느끼게 하여 이론을 충분히 습득케 하고 그 원리를 바탕으로 실 공학문제를 푸는 해석적 방법의 기초를 쌓게 한다.


SE708 공업수학(1) (ENGINEERING MASMATICS (1))

공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응용수학 분댜에 대하여 기본 개념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예제를 통하여 이해를 촉진시켜 응용력을 높인다.


SE707 공업수학(2) (ENGINEERING MASMATICS (2))

공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응용수학 분댜에 대하여 기본 개념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예제를 통하여 이해를 촉진시켜 응용력을 높인다.


SE706 공학계산(Mathcad) (Engineering calculation)

본 수업은 토목공학도가 수행하는 모든 공학적 계산을 수계산이 아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Mathcad 프로그램을 학습하며, 이를 이용한 각종계산(공학수학, 수치해석, 전공과 관련된 모든 역학과목들)의 기본을 연습하는 교과목이다.


SN0705 IoT코딩 (IoT coding)

본 수업은 학생들의 사물인터넷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코딩에 기초를 학습시키는데 목표가 있다. 아두이노 등을 이용하여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이론과 실습에 대하여 강의한다.


SE709 전공기초설계 (Career Path Design)

창조적 사고와 진취적인 행동으로 시대의 흐름을 선도하는 창의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창조성을 위한 정신과 능력은 대학에서 학문하는 사람으로서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회에 나가서도 창조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불가결하고 이는 국가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잠재되어 있는 창의성을 배양하는 교과과정을 통하여 적극적인 탐구 자세, 합리주의, 미래지향성, 혁신성, 기존 관념에 대한 비판적 자세, 과학적 문제 해결 방식, 사회적 유용성의 추구, 종합적 판단 등과 같은 정신과 능력을 배양한다.


SN020 수치해석및실습 (NUMERICAL ANALYSIS)

주어진 문제의 수치해석적 해를 구체적으로 구하는 방법론을 다루며, 수치연산, 비선형방정식의 수치해법, 다항식에 의한 보간법, 미분 및 적분값의 근사치, 미분방정식의 수치해법 및 오차분석에 관하여 다룬다. 수치해석적 풀이법 및 프로그래밍 기법을 도입하여 해를 구하는 방법을 익힌다.




전공 과목


SN0638 3D CAD (3D CAD)

공학도가 현장에서 근무하는데 필요한 측정과 관련되는 분야를 학습한다. micrometer 이용부터 시작해서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측정인 CMM에 이르기 까지 이론과 실습을 실시한다. 제도는 설계도면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다. 공학도로서 필요한 도면에 관한 지식과 2차원 3차원 도면 이해법 및 AUTO CAD를 이용한 도면작성법을 학습한다.


SE041 유체역학(1) (FLUID MECHANICS (1))

정역학 및 동역학적인 이론, 운동방정식, 이상유체 및 실제유체의 유동 등 토목공학에서 주로 취급하는 관수로, 개수로에서의 유동특성의 기초, 차원해석과 상사법칙, 에너지 손실과 유체저항 등을 습득케 한다.


SE647 유체역학(2) (FLUID MECHANICS (2))

정역학 및 동역학적인 이론, 운동방정식, 이상유체 및 실제유체의 유동 등 토목공학에서 주로 취급하는 관수로, 개수로에서의 유동특성의 기초, 차원해석과 상사법칙, 에너지 손실과 유체저항 등을 습득케 한다.


EF204 재료역학(1) (MECHANICS OF MATERIALS)

재료역학에서는 힘에 대한 물체의 변형상태 응력 및 변형률을 물리적 기하학적으로 고찰한다. 공업역학 과정을 바탕으로 하며 토목구조물 해석의 기본이 되는 역학 과목이다.
  1. 축력 (인장, 압축)부재 및 전단  2. 2축 인장 및 압축 3. 비틂부재  4. 단면성질   


EF206 재료역학(2) (MECHANICS OF MATERIALS (2))

재료역학에서는 힘에 대한 물체의 변형상태 응력 및 변형률을 물리적 기하학적으로 고찰한다. 공업역학 과정을 바탕으로 하며 토목구조물 해석의 기본이 되는 역학 과목이다.
  1. 보 속의 응력 (휨응력, 전단응력) 2. 평면응력 및 평면 변형률 3. 보의 처짐 4. 부정정보


EF302 구조역학(1) (MECHANICS OF STRUCTURES (1))

재료역학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고전적인 구조해석의 이론과 적용방법을 분명하고 철저하게 교수한다. 대상구조물은 주로 트러스(Truss), 보(Beam), 프레임(Frame)이다. 졸업후 직업현장에서 부딪치는 실제적인 응용성 강한 문제들을 제공하고, 이들의 구조모델링(Modeling for structural analysis) 및 해석능력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둔다.
 1.구조물의 형식 및 하중,  2.영향선, 3.부정적 구조물의 근사해석 , 4.부정정 구조해석, 5.처짐각법 , 6.모멘트 분배법


EF312 구조역학(2) (MECHANICS OF STRUCTURES (2))

구조역학(1)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구조물 설계를 위한 구조해석법을 교수한다. 구조역학(1)에서 다룬 정규적인 구조물(Regular structures)과는 달리 부정규적인 구조물(Irregular structures)도 취급한다. 또한 전산구조해석을 위한 수치구조해석의 기초를 강의한다.

  1. 에너지법 2. 부등단면보의 해석 3. 매트릭스 구조해석 4. 구조해석용 프로그램 실습 


EF304 철근콘크리트공학및설계 (REINFORCED CONCRETE ENGINEERING AND DESIGN)

 토목재료학 및 실험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기본성질, 재료, 역학적 성질, 설계법과 안전성 등에 관한 이론을 강의한다. 또한 시방서 규정의 해설을 통한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방향을 제시한다. 또 실무와 밀접한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기본을 강의하고, 응용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과제물의 부여 및 검토분석을 주로 다룬다. 1. 콘크리트 및 철근의 특성, 2. 기둥의 설계, 3. 보의 설계, 4. 전단철근의 설계, 5. 사용성 검토    


EF303 수리학(1) (HYDRAULICS AND LAB (1))

물의 성질, 정수역학, 동수역학의 기초, 층류와 난류, 관수로의 정류 및 개수로의 정류까지 취급한다. 수리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하는데 주력을 두고 관수로와 개수로의 정류에서 실제로 응용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된다.


EF308 수리학(2) (HYDRAULICS AND LAB (2))

물체의 저항, 수류의 측정, 토사의 소류와 부유, 지하수의 흐름 및 차원해석법과 수리학적 상사율을 취급한다. 본 과목중에서 파동은 주로 미소진폭파를 취급하고, 표면파의 에너지의 전달은 항만공학에 있어서의 파랑의 변형에 응용할 수 있게 하고 미소진폭파의 파장을 방파제의 설계에 응용할 수 있게 한다.


EF404 수문학 (HYDROLOGY)

 
수문학의 개론적인 과목으로서 강수현상, 유량측정 및 증발산, 지표수 수문학과 수문곡선의 해석을 하며 강우-유출의 관계, 수문학에서의 확률, 추계학적 수문학과 유사이론을 다루며 수문학적 추적과 수리학적 추적을 포함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수문학의 기본원리를 다룬다


EF218 토질조사실습 (PRACTICAL STUDY OF SITE INVESTIGATION)

지반조사계획, 시추 방법, 현장원위치시험 방법, 지반특성치의 결정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 및 실습하고, 흙의 분류에 필요한 기본 물성실험(함수비, 비중, 입도분석 등)을 실습한다.


EF313 토질역학(1) (SOIL MECHANICS (1))

흙 및 암반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이론으로서 습득시킨다. 1. 흙의 분류 및 특성  2. 토질역학  3. 토압론 4. 사면의 안정  5. 토중수


EF318 토질역학(2) (SOIL MECHANICS (2))

흙 및 암반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이론으로서 습득시킨다. 1. 흙의 분류 및 특성  2. 토질역학  3. 토압론 4. 사면의 안정  5. 토중수


EF314 토질시험(1)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

 이 과목의 주된 목적은 실험실내에서 흙의 성질을 결정하는 것이다. 시험의 종류는 직접전단시험, 다짐시험, 압축 및 CBR 시험, 압밀시험 등이다.


EF324 토질시험(2)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

이 과목의 주된 목적은 실험실내에서 흙의 성질을 결정하는 것이다. 시험의 종류는 직접전단시험, 다짐시험, 압축 및 CBR 시험, 압밀시험 등이다.


EF212 측량학(1) (SURVEYING AND EXERCISES (1))

1. 개론   2. 거리측량   3. 평판 측량   4. 각측량    5. 수준측량 6. 면적 및 체적계산   7. 삼각측량


EF214 측량학(2) (SURVEYING AND EXERCISES (2))

1. 사진측량  2. 응용측량  3. 차원해석 및 상사 4. 오차론  5. 자료분석


EF307 철근및PS콘크리트공학과설계 (DESIGN OF REINFORCED &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기본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인 슬래브와 기둥의 설계법을 교육하고,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기본이론과 해석과 설계와 관련된 주요한 사항을 강의한다. 3시간의 강의 중 2시간은 이론 강의이며, 1시간은 설계를 위한 실습시간으로 구성된다.


EF210 토목재료학및실험 (MATERIALS FOR CONSTRUCTION AND LAB)

토목공사 및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각종 공학재료의 특성 및 거동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석재, 아스팔트 재료, 흙, 목재, 강재, 콘크리트 재료, 시멘트, 플라스틱 및 고분자 재료 등 이러한 재료로 구성 제작된 각 부재 등에 대하여 그 물리적 및 공학적 특성 등을 이론 및 실험으로 연구한다.


EF315 상하수도공학 (WATER SUPPLY AND WASTEWATER SYSTEM ENGINEERING)

상수도 및 수리학적 이해를 통한 실제 수공학의 전용분야로 하수도 계획 및 설계이론 이해상수도 계획을 위한 수자원의 양적 개념으로서 강수 및 유출현상이 해상?하수도의 질적 개념으로 수질항목, 수처리에 관한 이론 및 적용 숙지한다.


EF421 시공학 (CONSTRUCTION ENGINEERING WORKS)

시공학은 토목공사(도로, 항만, 교량 등)의 시공을 위한 기초사항을 학습하는 교과목으로서, 최신의 시공법, 시공장비, 시공 시스템 등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EF422 시공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이 교과목은 토목공사의 시공관리를 위한 기초를 강의한다. 관련 법령, 공기, 공사안전, 행정지원 등과 같은 시공을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들을 강의한다.


EF428 BIM기초이론과실습 (BIM Basic and Practice)

본 수업에서는 2학년에 학습한 3D Autocad와 연계된 교과목이다. 3차원 도면에 구현되는 대상에 정보를 추가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의 기초이론과 실습을 수업한다.


EF409 강구조공학 (ENGINEERING OF STELL STRUCTURES)

현재 우리나라 강교량, 강구조 설계기준의 기본 설계법으로 사용되는 하중저항계수 설계법을 중심으로 강구조 기본 부재 및 요소 거동의 설계 개념을 교수한다.


EF309 해안및항만공학 (COASTAL AND HARBOR ENGINEERING)

파동, 조석, 조류 및 표사의 기본이론을 다루고 항만과 부두시설의 계획, 설계 및 시공, 방파제, 안벽, 잔교 및 돌핀 등 항만시설물을 설계한다. 또한 해안선의 유지보전을 위해 표사, 준설 및 매립 등을 취급한다.


EF403 기초공학및토질구조물설계 (FOUNDATION ENGINEERING AND DESIGN)

1. 기초설계시 필요한 흙의 물성치를 결정하는 과정, 즉 현장 지반조사법을 익히고, 구조물의 종류에 따른 각각의 설계 요소를 결정한다. 기초설계의 기본적인 이론과 각각의 설계방법을 익히고,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설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 능력을 배양한다.

2. group study를 필요로 하는 과제물과 computer program을 이용하는 과제물과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기초설계를 하고 이를 용역회사에서 이용하는 보고서 양식으로 제출하는 과제물이 있다


EF426 도로 및 철도공학 (ROAD AND RAILWAY ENGINEERING)

도로 및 철도의 분류, 교통량 조사, 도로설계 및 유지보수 등에 이르는 도로 및 철도공학과 관련된 전반적인 기본이론 및 공학적 특성을 학습한다.


EF424 토목공학실무 (CIVIL ENGINEERING PRACTICE)

저학년에서 수강한 토목공학 전반에 대한 교과목지식을 바탕으로 구조공학, 수공학, 지반공학 분야의 실무를 현장에서 경험하게 하여 차후 졸업 후 진로에서의 적응력을 배양한다.


EF425 토목구조물유지관리세미나 (MAINTENANCE AND INSPECTION FOR CIVIL STRUCTURES)

본 교과목은 4학년 학생들을 위한 전공교양 수업으로 외부기관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전임교수가 공동 운영한다. 교량, 터널 및 댐과 같은 토목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상태모니터링 기술을 교육한다. 각종 구조물의 변형과 변형률 측정을 위한 각종 센서의 원리, 내하력 평가방법, 시설물 유지관리 관련 법규와 시행방법, 각종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등을 소개한다.


EF405 토목종합설계 (CIVIL ENGINEERING DESIGN PROJECT)


전공의 이론과 설계를 통합 연계하여 종합적인 지식과 설계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별 설계과제를 설정하여 실습으로 진행하고, 주어진 프로젝트를 통해서 설계의 기초지식을 습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