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오감 중에서 시각은 가장 많은 정보를 획득하는 감각 기관으로 눈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거의 모든 사고와 행동이 일어나며 시각적 정보의 일부가 기억으로 남고 재인된다[박선명 외, 2015]. 누구나 눈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보는가에 따라 지각되는 형태나 내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주의적 집중을 하지 않고 시각적 자극을 본다면 기억되는 정보가 아주 미약할 것이며 기억되는 정보도 없을 것이다.
  시각적 주목성과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서는 시각적 단서나 사물을 지각하고 인지하는 정신적 프로세스와 관련된 시지각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이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방법이 요구된다[박혜경, 2010]. 심리학자 제임스(James, 1981)에 의하면 주목성(visual attention)이란 ‘what’ 혹은 ‘의미’, ‘인간이 관심을 가지고 기대’라고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목이란 뇌가 관심 있는 자극을 처리할 수 있게 선택하여 정신을 한곳으로 집중하는 것이다. 어떤 대상을 집중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다른 대상으로부터는 물러나게 됨을 의미하며, 이를 주목의 과정과 시선 운동이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한편, 헬름홀츠(V.Helmholtz)와 같은 다른 심리학자들은 “팝아웃(popout) 창”과 같이 주의를 기울이는 지점들에 대하여 안구를 옮겨 저해상도로 보이는 것을 고해상도로 인지하게 되는 시각의 주기적 과정을 설명하였다[박혜경, 2010].
  시지각 인지에 관한 이상의 고찰을 통해, 주의적 집중과 시선운동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시선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면, 시각적 대상이 시선을 어떻게 유도하는지 주의집중 정도를 구체적으로 도출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황미경 외, 2019].


  본 연구센터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교류를 통해 인간의 시지각 반응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본 주제의 경우 시지각에 대한 이론 연구와 시지각에 대한 사례 연구를 병행하고자 하며, 주제와 관련된 콜로키움 및 관련 자료는 '학술 콜로키움 - Visual-Perception Study'(시지각에 대한 이론 연구)'학술 콜로키움 - Eye tracking'(시지각에 대한 사례 연구)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술 콜로키움 - Visual-Perception Study'(시지각에 대한 이론 연구)
   '학술 콜로키움 - Eye tracking'(시지각에 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1. 박선명, 김종하, 이정호, 시지각 주의집중에 대한 시선추적 조사방법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31권, 제6호, pp.121-129, 2015.
2. 박혜경, 아이트래킹 기법을 이용한 지하철 공공환경시설물의 시지각 주목성 평가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제23권, 제1호, pp. 238-247, 2010.
3. 황미경권만우 ,박민희, 색상(Color)과 형태(Form)에 따른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19 No.4, pp.102-11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