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제약공학 전공이 어디에, 왜 필요할까?
■ 기업 수요 - 대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APS, LG화학(LG생명과학), LG 생활건강, CJ제일제당, ㈜대상, 아모레퍼시픽, 한미약품, 유한양행, 한국콜마 등 - 중견기업: 셀트리온 등, 국내 주요 제약회사, 화장품회사, 식품회사가 빠른 성장세를 보임 - 중소벤처기업: 국내에서 해마다 다수의 중소벤처기업이 창업 및 확장되고 있음 - 다국적 기업: 해외 제약업체들이 국내 제약/향장업체와 OEM 생산 등의 방식을 활용하기 위하여 해마다 다수가 국내로 진출하고 있음. ■ 오송 생명과학단지 조성 등, 국가적 시책으로 의약품의 선진화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고급인력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대학원진학자 및 연구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추세임. ■ K-뷰티로 브랜드화 된 국내 향장산업의 국제적 도약으로 사상 최대의 제약 연구개발 및 공정 전문인력 요구도를 보이고 있음. ■ 신약개발 인프라 구축의 국가시책으로 임상관리기관이나 비임상관리기관, 식품의약 행정기관 등에서 공무수행 인력 수요가 점증하고 있음. ■ 생활안전 및 보건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행정인력 수요가 점증하고 있음. |
나. 제약공학 전공자는 어디에서 일을 할 수 있을까?
[직접 관련 분야] - Q.C(품질관리부서), Q.A(품질보증부서), CRA(임상관리사) - 제조관리부 및 제조부, 공정관리부서 - 마케팅부서, 영업관리부 및 영업부 - 연구소, 개발부, 학술부 ■ 식의약 품질분석 전문회사 (수출입 통제관계로 부산에 다수 소재) - 분석부, 관리직 ■ 공무원 - 생활안전, 보건위생 행정분야 전문직/기술직
[간접 관련 분야] |
다 . 제약공학과의 미래는?
■ 진학 - 약학대학 진학으로 미래 약사 배출 - 대학원 진학으로, 공공기관 및 산업체의 연구개발직 및 행정/관리직 진출 - 제약, 기능성식품, 화장품 제조/유통 기업체 취업 - 연구개발, 생산, 품질관리, 마케팅 영역 ■ 임상시험 관련 - 내용 ■ 정부 관련 - 내용 ■ 전문직 - 임상관리자 교육을 통한 CRO 기관진출 - 생명공학기사, 위생사, 제약기사(졸업생 1,000명이상 배출시 법률적으로 시행 제안) 등 자격증 취득을 통한 전문직 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