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산업공학의 특성
 
산업공학은 과학적 관리기법을 기반으로 탄생된 학문입니다.
산업공학은 19세기 말 프레드릭 테일러(Fredrick Talor)가 제안한 과학적 관리기법(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 ment)을 기반으로 탄생하였으며, 1909년 최초로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산업/제조공학과라는 명칭으로 개설 되었습니다. 그리고 국내외 많은 대학교에서는 학과개설의 동기와 관점에 따라서 산업공학을 시스템공학, 경영공학, 경영과학, 생산공학, 제조공학 등의 학과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산업공학은 학제간 융합학문입니다.
산업공학은 기계공학, 화학공학, 토목공학 등과 같이 공학의 한 분야지만 이들 분야는 특정 공학분야에 중점을 둔 요소학문인 반면 산업공학은 모든 공학분야 및 사회과학 분야를 망라하는 학제간 융합학문으로서 시대가 요구하고 있는 융복합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특화된 학문입니다.
 
산업공학은 과학적이며 계량적 경영학문입니다.
산업공학은 공학과 경영을 접목한 학문이지만, 여기에서 경영이란 심지어 심리학과 같은 사회과학까지도 고려한 과학적이며 계량적 경영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산업공학은 단지 제조공학만을 학문적 기반으로 삼고 있지 않습니다.
산업공학은 그 학문 기반이 원래 제조분야이었지만 지금은 그 학문 대상이 제조업뿐 아니라 서비스, 행정, 의료서비스 등 전 산업분야로 확장되어 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산업공학의 특성을 확장의 개념에서 흔히 시스템공학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산업공학은 가장 폭넓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연봉이 가장 높은 공학분야 중 하나입니다.
산업공학은 모든 산업분야에서 전문가뿐 아니라, 기업 CEO, 컨설턴트, 세미나 강사, 연구자로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연봉이 가장 높은 공학분야 중 하나입니다.
 
 
산업공학에서는 무엇을 배우나
   
산업공학의 교육분야는 시스템분석, 생산/물류경영, 품질/데이타경영, 인간공학, 정보시스템, 경영공학 등 6개 분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시스템분석
● 개 요 : 현대사회 전반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산업 및 공공분야 시스템의 최적 설계, 효율적 운영, 그리고 합리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분석도구와 방법론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통하여 기초지식과 응용능력을 배양하는 교육분야
● 교육내용 : 경영과학(Operations Research), 의사결정론, 시뮬레이션, 경제성공학, 공학회계, 시스템설계, 신뢰성공학 등
 
 생산/물류 경영
● 개 요 : 생산(또는 제조) 시스템의 계획과 통제, 물류 네트워크의 설계 및 관리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분야
● 교육내용 : 생산경영, 재고관리, 제조공학, CAD/CAM, 생산자동화, 물류관리, 공급사슬관리(SCM), 스마트 생산시스템 등
 
 품질/데이터 경영
개요 : 통계적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경영활동에 체계적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시과 품질경영 및 데이터경영 등의 응용방법을 학습하는 교육분야
● 교육내용 : 공학통계, 실험계획법, 품질공학, 품질경영, 서비스공학, 통계적 공정관리, 데이터 마이닝, 고객관계관리(CRM) 등
 
 인간공학
● 개 요 : 생산(또는 제조) 시스템의 계획과 통제, 물류 네트워크의 설계 및 관리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분야
● 교육내용 : 생산경영, 재고관리, 제조공학, CAD/CAM, 생산자동화, 물류관리, 공급사슬관리(SCM), 스마트 생산시스템 등
 
 정보시스템
● 개 요 : 정보통신 기술과 시스템은 기업의 효율적 경영과 역량 강화를 추구하는 산업공학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핵심요인으로써, 생산정보시스템 등의 기존 학문분야와 접목해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마이닝 등과 같은 최신의 이론을 이용해서 미래 신사업 분야를 개척하는 교육분야
● 교육내용 : 정보시스템 설계 및 개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 경영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JAVA, C#), 전문가시스템, 인공지능 등
 
 경영공학
● 개 요 : 최근 급변하는 경제, 산업 및 기술 환경 속에서 사회적 니즈에 따라 공학도로써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경영·경제의 이론 및 분석방법을 이해하는 교육 분야
● 교육내용 : 기술경영, 기술예측, 기술창업론, 금융공학, 투자공학, 경영혁신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