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년 동계학술세미나: 지역발전정책의 방향과 개선방안

  • 배준구 : 지역발전정책의 방향과 추진체제 개편(경성대학교 행정학과)
  • 배인수 : 지역발전 추진 거버넌스 사례- 경상남도의 연계ㆍ협력 사업을 중심으로(인제대학교 김해발전전략연구원)

미국 금융노년학자 초청 세미나(2012. 9. 10)

  • 한국금융노년전문가협회(KIFG), 부산복지개발원 공동
  • 닐 커틀러 박사 : 고령선진국 50+ KOREA 서비스 사례와 복지(미국금융노년전문가협회 AIFG 회장)
  • 한주형 : 50+ 커뮤니티 - 시니어비즈니스와 창업(퓨처모자이크연구소 소장, 한국금융노년전문가협회 회장)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년 동계학술세미나
지방의회 20주년 부산광역시 구•군 의회의 의정 활동 평가와 과제(2011.12.2)

  • 한국금융노년전문가협회(KIFG), 부산복지개발원 공동
  • 송근원 • 김민천 : “부산광역시 구ㆍ군의회의 의정활동 평가와 과제”
  • 송근원(경성대 행정학과), 김민천(경성대 외래교수 겸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스마트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문화포럼 정책토론(2011.9.28)

  • 김위근 : 스마트 미디어 확산과 커뮤니케이션의 변화(한국언론재단 연구위원)
  • 정민하 : SNS사용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찰(NHN정책협력실장)
  • 김유향 : 소셜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담론 형성(국회 입법조사처 방송통신팀장)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년 학계학술세미나 : 부산시민의 행복지수와 광역경제권의 발전방안(2011.6.10)

  • 문유석 : 부산시민의 행복지수 ‘부산시민의 행복지수와 정책요인’(경성대 행정학과)
  • 정승진 : 광역경제권의 발전 방안(동남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김재홍 : ‘잉글랜드 광역경제권 정책의 전환: RDA 폐지와 LEP 창설을 중심으로’ (울산대 행정학과)

동남광역경제권 포럼: 대경권과 동남권의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협력 방안(2010. 11. 26)

  • 도시및지역계획연구원 공동 주관
  • 송은정 : 대경권과 동남권의 문화관광 연계 활성화 방안(대구경북연구원)
  • 박정우 : 대경권과 동남권의 산업용 섬유산업 협력 방안(부울경산업용섬유산업협회 사무국장)
  • 김영석 : 대경권과 동남권의 선도산업 협력방안(동남광역경제권선도산업지원단)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워크샵(2010.11.19)

  • 송근원 : 이슈 경쟁인가? 이슈 동반인가? - 17대 대선 후보들의 이슈를 중심으로(경성대 행정학과)
  • 문유석 : 경찰관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영향(경성대 행정학과)

2010년 정책세미나: 지방선거의 주민참여와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방안(2010.9.16)

  • 강윤호 : 6.2지방선거를 통해 본 주민참여: 부산시를 중심으로(한국해양대 해양행정학과)
  • 정규석 :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를 방안(경성대 사회복지학과)

2009년 세미나 및 워크샵

  • 동남광역경제권 발전계획(안)과 향후 과제(2009.3.20.)
  • 동남광역경제연구회 공동

2008년 세미나 및 워크샵

  • 광역경제권의 활성화와 대응전략(2008.11.28.)
  • 동남광역경제연구회 공동

2008년 세미나 및 워크샵

  • 광역경제권의 발전방향(2008.11.7.)
  • 동남광역경제연구회 공동

2007년 정책세미나

  • 선진 지방문화산업과 네트워크(2007.02.26)
  • 경성대 사회과학연구소

2006년 정책 세미나

  • 진재문 : 부산 시민의 소득 불평등과 양극화(경성대 사회복지학과)
  • 김종한 : 부산의 고용 불일치와 일자리 창출(경성대 디지털비지니스학부)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2005. 6. 3.)

경성대 사회과학연구소, 한국지방자치학회, 부산경남지방자치학회, 동의대 지방자치연구소 공동주최

  • [대주제 : 지방정부의 발전과 정책과제]
  • 김순은 :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과 자치단체간의 갈등해송방안 (동의대 행정학과 박사과정)
  • 이신주 : 전자정부하에서의 지방자치단체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성과 영향요인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경성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 강용석 : 우리나라 재난대응체제에 대한 고찰 (동의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 박영강 : 지방정부의 목표관리제 시행 경향과 과제(동의대학교 행정학과)
  • 최길수 : 지방정부의 정책품질관리제(영상대학교)
  • 강윤호 : 항만거버넌스 구조의 효율화 방안 : 항만공사를 중심으로(한국해양대학교)
  • 최낙범 : 일본 기초 지방정부의 합병(경남대학교)
  • 배준구 : 프랑스의 공공기관 이전정책(경성대학교 행정학과)

2005-2 사회과학연구소 설문 조사(2005. 4. 11.)

  • 주제 : 최근 이슈에 대한 부산시민의 의식 조사
  • 시행기관 :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sb 부산방송
  • 연구책임자 : 송근원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 공동연구원 : 김민천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2005-1 사회과학연구소 설문 조사(2005. 1. 12.)

  • 주제 : 2004년도 정부 활동에 대한 부산 시민의 평가 조사
  • 시행기관 :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sb 부산방송
  • 연구책임자 : 송근원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 공동연구원 : 김민천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2004-1 사회과학연구소 설문 조사(2004. 10. 27.)

  • 주제 : 행정 수도 이전 위헌 결정과 4대 개혁 법안에 대한 부산 시민의 의식 조사
  • 시행기관 :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sb 부산방송
  • 연구책임자 : 송근원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 공동연구원 : 김민천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제21회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세미나(2004. 6. 7.)

[대주제 : 공공 서비스와 지역발전]

  • 김교정 : 사회복지사의 갈등에 관한 연구 (동명대학 사회복지과)
  • 송근원 : 공공서비스 민간위탁 결정에 누가 영향을 미치는가? (경성대학교 행정학과)
  • 배준구 :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특별법 제정의 의의와 과제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행정학과)
  • 나중식 : 브라질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성공요인과 한계 (경성대학교 행정학과)

제20회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세미나(2003. 10. 31.)

[대주제 : 인터넷 음란물과 현행법]

  • 김민혼 : 사이버 공간에서 음란성 기준에 관한 소고 -미국 판례 이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 김형남 : 사이버 포르노와 헌법상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법학과)
  • 최문기 : 음란물에 의한 인터넷상의 명예훼손 (경성대학교 법학과)
  • 심재무 : 사이버 스페이스에 있어서 음란물의 형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법학과)

제19회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세미나(2003. 6. 11.)

[대주제 : 인터넷 음란물과 현행법]

  • 김민혼 : 사이버 공간에서 음란성 기준에 관한 소고 -미국 판례 이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 김형남 : 사이버 포르노와 헌법상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법학과)
  • 최문기 : 음란물에 의한 인터넷상의 명예훼손 (경성대학교 법학과)
  • 심재무 : 사이버 스페이스에 있어서 음란물의 형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법학과)

공동 학술세미나(2003. 1. 10)-경성대사회과학연구소, 연세대사회복지연구소,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공동주관

[대주제 : 한국 사회복지기관 평가제 및 인증제 정책방안 모색]

  • 최재성 : 사회복지 컨설팅 평가·인증이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강영숙 : 외국 사회복지 평가 평가·인증사례 비교분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제18회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세미나(2002. 11. 27. 2:00-6:00)

[대주제 : 21세기의 사회복지]

  • 김수환, 손광훈 : 부산지역 사히복지관 종사자의 상황적 리더쉽 유형과 경쟁적 가치관리 기술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수)
  • 최송식 : 정신보건서비스 연계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수)
  • 정규석 : 학생봉사활동에 대한 평가와 활성화 방안 (경성대학교 교수)
  • 황지영 : 여성노인 모델의 이미지: 바람직한 여성노인 모델 표상을 위한 기호학적 접근 (경성대학교 교수)
  • 나동광 : 이혼자들을 위한 기독교 상담 (경성대학교 교수)

제17회 통일문제 학술세미나(2001. 11. 24. 10:20-12:30)

[대주제 : 북한 권력 구조의 변화와 남북한 통일]

  • 공보경 : 남북한 통일문제의 암비발렌쯔 (경성대학교 교수)
  • 간대욱 : 김정일시대 북한 권력엘리트의 특성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제16회 통일문제 학술세미나(2000. 5. 26. 13:50-17:30)

[대주제 : 21세기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

  • 김홍수 : 한국의 선택-새로운 동북아시아질서 속의 중국역할론 (영산대학교 교수)
  • 진창수 : 북일국교정상화의 일본 국내정치적 제약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 심신복 : 현 북한의 실상과 우리의 안보태세 (초청강연, 전 북한군소좌)

제15회 통일문제 학술세미나(1999. 11. 5. 13:30-17:10)

[대주제 : 남북한 여성의 사회생활비교]

  • 이금순 : 남북한 여성의 사회적지위 및 역할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 박미석 : 남북한 가정생활의 비교를 통한 여성의 삶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 이애란 : 북한주민의 생활과 인권 (초청강연, 1997년 귀순)

제14회 통일문제 학술세미나(1998. 10. 30. 13:30-17:00)

[대주제 : 남북한 경제협력과 통일의 과제]

  • 김학준 : 남북한 경제교류와 정경분리원칙 (인천대학교 총장)
  • 김연철 : 북한의 경제개혁과 대남경협정책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김태경 : 최근 남북한 경제협력의 현황, 쟁점과 과제(부산매일신문사 논설위원)

제13회통일문제 학술세미나(1997. 10. 31. 14-17시)

[대주제 : 한국의 시민사회와 통일논의]

  • 전기원 : 통일에 대비한 시민사회론의 방향과 한국시민사회의 과제
  • 주봉호 : 남북관계와 통일논의의 방향

제12회 통일문제 학술세미나(1996. 11. 1. 14:30-17:30)

  • 김병원 : 북한관료제의 이념성과 전문성[Ⅱ] - 로동신문 사설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김영추 : 북한의 인권문제와 한반도 평화

제11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95.11.7. 14시-17시30분, 본교 무역대학원 세미나실)

[대주제 : 90년대 한반도 상황변화와 북한의 진 로]

  • 이대우 : 90년대 한반도 주변환경의 변화와 북한정치
  • 이갑수 : 북한의 대외경제정책과 전망
  • 백승주 : 북한의 대 중국 체제유지정책 평가와 전망

제10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94.11.9. 14시-17시30분, 본교 무역대학원 세미나실)

[대주제 : 한반도 평화정착방안]

  • 김용호 : 동북아 평화와 남북한 관계
  • 조경근 : 동북아 안보와 한미일 삼자안보협력

제9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93.11.10. 14시-17시30분, 부산상공회의소 상의홀)

[대주제 : 부산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대북방합자사업의 진로]

  • 金承男 : 中國의 中外合資經營企業法 및 吉林省 投資環境 分析
  • 朴憲穆 : 北韓의 合營法 및 經濟關聯 法令의 檢討

제8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92.11.5. 14시-18시, 본교 무역대학원 세미나실)

[대주제 : 남북한 교류협력의 현황과 대책]

  • 許 漫 : 脫冷戰時代의 韓半島 統一政策 : 統合民族主義의 創造와 함께
  • 延河淸 : 南北韓 經濟協力의 政策課題
  • 金泰宇 : 韓半島 核 : 問題點과 打開方案

제7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91.11.14. 14시-17시30분, 본교 무역대학원 세미나실)

  • 金秀煥 : 北韓의 社會福祉法制에 關한 一考察
  • 金永鍾 : 蘇聯社會와 社會福祉의 性格
  • 鄭泰哲 : 東歐共産圈의 說得體制 崩壞過程과 言論의 位相

제6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90.11.22. 13시30분-15시30분, 본교 무역대학원 세미나실)

  • 梁東勳 : 中南美 共産主義 運動 : 成敗와 展望
  • 黃壽淵 : 社會主義 計劃經濟의 非效率의 要因
  • 洪順玉 : 共産主義 國家의 幼兒敎育에 관한 硏究

제5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89.11.29. 13시30분-18시, 본교 무역대학원 세미나실)

  • 鄭義光 : 東歐諸國의 經濟.交易體制 變化와 東西交易의 展望
  • 宋根源 : 統一잇슈의 發展過程
  • 朴憲穆 : 航空機 테러行爲의 抑制와 그 處罰에 관한 硏究
  • 安哲鉉 : 韓國戰爭의 影響에 관한 한 硏究

제4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88.11.9. 14시-18시, 본교 무역대학원 세미나실)

  • 權容立 : 美國政治와 對外政策의 理念的 土臺에 관한 硏究
  • 姜正鎬 : 蘇聯의 體育文化와 Sports에 관한 硏究
  • 朴鍾宇 : 마르크시스트 福祉觀에 대한 檢討

제3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87.12.5. 10시-17시, 본교 문과대학 소강당)

  • 金錫千 : 中共의 貿易體制와 韓國의 對中共 輸出戰略에 관한 硏究
  • 金炳元 : 北韓의 黨과 行政官僚制
  • 白奉鍾 : 北韓의 統一論理와 軍事力 增强
  • 鄭榮道 : Paulo Freire의 民衆解放論에 있어서 革命的 엘리트의 「對話的 行動」
  • 金相勳 : 中共의 改革政治와 그 展望

제2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86.12.19. 오후2시-6시30분, 본교 문과대학 소강당)

  • 金永秋 : 蘇聯憲法變遷의 動因과 特色
  • 金炳元 : 北韓에 있어서 經濟體制의 變化조짐과 官僚制
  • 姜正鎬 : 國際比較體育에서 본 東獨의 體育敎育과 Sports에 관 한 硏究
  • 孔輔卿 : 러시아와 中國의 마르크시즘 受容過程 考察

제1회 통일문제학술세미나(1985.11.6. 오후2시-6시30분, 본교 콘서트홀)

  • 李大雨 : 中共의 實用主義路線이 北韓에 미치는 影響
  • 吳勇錫 : 中共經濟開發戰略의 轉換과 北韓經濟政策에 미치는 영향
  • 金基鳳 : 南北韓의 體育敎育과 스포츠政策의 比較